NOWPAP 역사

1974 유엔환경계획 (이하 UNEP)은 공통된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종합적이고 특별한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주변국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전 세계 해양 및 연안 지역의 퇴화를 다루기 위한 지역 해상 프로그램 시작

1989 중국, 일본, 한국과 러시아 연방의 요청으로, UNEP는 "아직 지역 해상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은 바다를 위한 새로운 실행계획 준비"를 승인함.

1991 북서태평양 지역의 국가 대표들은 해당 지역의 지역 해상 프로그램 이행을 위한 실행계획에 대해 의논하기 위해 러시아 연방의 블라디보스톡에 모임.

1994 9월 14일 서울에서 열린 첫 국가 간 회의 (이하 IGM)에서 북서태평양 지역의 해양 및 연안 환경의 보호, 관리와 발전을 위한 실행계획 도입

1998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3차 IGM에서 지역활동센터의 연결망 구축을 공식적으로 승인

1999 베이징에서 열린 4차 IGM에서는 NOWPAP 지역조정사무소 (이하 RCU)를 설립하기로 결정함.

1999 일본 도야마에 NOWPAP CEARAC (The Special Monitoring & Coastal Environmental Assessment Regional Activity Centre) 지역활동센터 설립 

1999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 NOWPAP POMRAC (The Pollution Monitoring Regional Activity Centre) 지역활동센터 설립

2000 한국 대전에 NOWPAP MERRAC (The Marine Environmental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Regional Activity Centre) 지역활동센터 설립

2000 도쿄에서 열린 6차 IGM에서 도야마와 한국 부산에 각각 한 개씩, 두 지역조정사무소를 설립하기로 결정

2001 중국 베이징에 NOWPAP DINRAC (The Data and Information Network Regional Activity Centre) 지역활동센터 설립

2004 도야마는 1일, 부산은 2일에 각각 지역조정사무소 개소

2004 부산에서 열린 9차 IGM에서 북서태평양 지역의 해양쓰레기 문제와 관련된 작업 개시 요청

2004 북서태평양 해양에서의 기름 유출 대응 및 준비성과 관련된 지역 협력에 관한 MoU 체결

2005  도야마에서 열린 10차 IGM에서 NOWPAP 지역 프로젝트에 대한 해양쓰레기 활동 (MALITA) 승인 및 NOWPAP 지역 기름 유출 대응책의 지리적 범위 확장

2007 샤멘에서 열린 12차 IGM에서 중국은 NOWPAP의 해양쓰레기에 관한 지역활동계획 (RAP MALI)을 승인함.

2008 한국 제주도에서 열린 13차 IGM에서 NOWPAP 지역 기름 및 유독성 물질 (HNS) 유출 대응책 승인

2012 2012-2017 NOWPAP 중기 전략이 회원국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됨.

2014 NOWPAP 사묵국을 대표하는 국제해상기구 (IMO)와 유엔환경계획 (UNEP)은 기름과 화학물질, 해양쓰레기, 오염 피해에 대한 시민들의 책임과 보상, 그리고 평형수 관리에 대한 대응과 준비성을 포함하여, 환경 분야의 협동 조약에 서명했다.

2018 회원국들에 의해 2013-2018 NOWPAP 중기 전략이 채택됨. 본 전략은 NOWPAP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해양과 관련된 SDGs의 지역적 이행에 대한 협력에 초점을 맞춤.